보행해충
해충·미생물에 따라 다양한 공법 및 방제시스템을 적용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.
바퀴
새로운 음식을 먹을 때 반소화된 음식물을 토함으로 음식물 오염, 식중독 유발.
살모넬라, 콜레라, 세균성 이질, 장티푸스 등의 병원균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토피, 알레르기성 천식, 비염유발.
개미
병원균을 묻히면서 이동하여 음식물 오염, 식중독 유발.
대규모 번식 및 사체분진으로 인해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며 알레르기성 천식, 비염 유발.
하수구 및 배관을 통한 침입
외부에서 연결되어 있는 하수구, 배관은
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아주 좋은 경로를 제공합니다.
식자재를 통한 유입 및 주방 발생
외부에서 들여온 식자재를 통해 보행해충이 유입된다면
취약 지역인 주방에서 대량 발생이 가능합니다.
출입구 및 포장재를 통한 유입
열려있는 출입구를 통해 침입하며 반입, 반출되는
박스포장재 틈새에 숨어있다가 실내로 유입되기도 합니다.
화단에서 발생
화단은 보행해충의 중요한 은신처를 제공하며,
화단에서 번식하게 됩니다.
쓰레기 처리 지역에서 발생
음식물 및 쓰레기를 처리하는 지역은
해충이 서식하기 가장 좋은 장소입니다.
방제 서비스에 가장 취약한 장소이기도 합니다.
서식처, 해충의 종류, 서식 밀도,
사체 배설물 등을 포함하여
해충의 발생 및 서식 흔적을 조사합니다.
해충의 종류에 따라 방제 방법을 결정하여
선택적으로 약제를 사용합니다.
발생 초기 제어 및 확인을 위해
모니터링 트랩을 사용합니다.
모니터링 트랩을 통해 해충의 서식 및 발생
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.
해충의 종류 및 장소에 따라
다른 투약을 진행하며,
예상 지역 및 발생 지역에 투약합니다.
모기
흡혈을 통한 가려움증 유발로 2차 감염 발생.
실내 대규모 번식 및 사체분진으로 인해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며 뇌염, 말라리아, 뎅기열, 황열 등 전염병 유발.
초파리
병원균을 묻히면서 이동하여 음식물 오염, 식중독 유발.
대규모 번식 및 사체분진으로 인해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며 각종 전염병 유발.
파리
오염된 장소 서식으로 각종 병원성 미생물 보유.
지속적인 음식 섭취로 5분마다 배설하며 각종 식중독 균 및 전염병 유발.
외곽 화단 발생
외곽 화단 및 조경은 비행해충 뿐만 아니라
일반 곤충 또한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며,
반드시 해충 제어가 필요한 장소입니다.
쓰레기장 발생 및 배관을 통한 침입
쓰레기장은 비행 해충 성충이 은신하기 좋은 장소를 제공하며,
수분과 유기물 찌꺼기가 존재한다면
비행 해충이 성장, 번식하기 가장 좋은 장소가 됩니다.
트랜치, 하수구 발생
트랜치의 유기물 및 고인물에서 비행해충의 유충이 서식가능하며,
한번 발생하면 급속도로 해충이 확산됩니다.
출입구 및 창문을 통한 침입
열려있는 출입구와 창문, 방충망이 없는 창문은
실내 불빛, 안정된 기류 등에 의해 실내로 침입이 가능합니다.
해충 서식 및 발생 지역에는
살충제 및 기피제를 잔류 분무 합니다.
물 사용 지역 (트렌치, 배수구 등)에는
실내 국소적 잔류 분무를 진행 합니다.
실내 유인 포충등 등 다양한 장비들을
해충 발생 및 이동 예상 경로에 설치하여
해충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합니다.
카트리지는 월 1회,
유인램프(UVA램프)는 연 1회 교체하여
최상의 상태를 항시 유지합니다.
성장 조절제를 사용하여 모기, 나방파리 등
유충의 성장을 억제 합니다. 정화조 및 집수정 등
물 고임 지역에는 직접 투약을 진행합니다.
해충 개체군의 지속적인 관리 및 억제를 위해
천적 또는 곤충병원성 미생물이나
선충을 이용하여 방제합니다.
쥐
전선을 갉아 전기합선사고로 인한 화재유발. 분변으로 음식물 오염, 식중독 등 전염병 유발.
유행성 출혈열, 렙토스피아, 서교열 등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며 벼룩과 이를 포함한 외부 기생충의 중간숙주.
배관을 통한 침입
배관은 쥐가 실내로 침입하기 가장 좋은 이동경로이며,
실내로 쉽게 침입할 수 있습니다.
출입구를 통한 침입
열려있는 출입구를 통해 쥐가 쉽게 침입할 수 있으며,
한번 침입한 후에는 지속적인 침입을 시도합니다.
동절기에는 은신처를 찾아서 따뜻한 실내로의 침입이 왕성합니다.
벽면 틈새 및 구멍을 통한 침입
쥐는 0.7CM의 틈만 있어도 갉은 후 실내로 침입하려는 성질을 보입니다.
시설 노후와 틈새 발생은 쥐가 침입하기 가장 좋은 조건을 제공합니다.
실내 서식 및 화재 발생
실내로 침입한 쥐는 내부에 먹이원만 존재한다면
실내에 둥지를 틀고 서식할 수 있으며,
건물 시설 및 전선을 갉아 화재를 발생시킵니다.
외곽 쥐 굴
건물 외곽 및 야산 지역에 쥐 굴을 파고 쥐가 서식합니다.
쥐의 서식처가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합니다.
* 약제 직접 투약 및 먹이 상자 투약쥐 먹이약제를 투약하며 주변 환경 및
상황에 따라 모니터링 트랩을 설치합니다.
쥐의 침입 및 이동 경로 내
모니터링 트랩을 설치하고 포획합니다.
빈대
하루 1~5개, 일생 200~500개 산란 가능.
중고 가구, 낡은 책, 옷, 가방, 박스, 신발 등 묻어서 이동. 심각한 피부 손상과 2차 감염을 유발.
진드기
먼지진드기는 사람의 각질 및 비듬 또는 먼지 등을 먹이로 하며
한 사람이 하루에 떨어뜨리는 양으로 수천 마리가 수개월간 생존 가능.
소아천식, 알레르기 비염,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.
침대 주변 및 틈새의 배변 흔적과 쇼파 틈새,
카펫, 벽지 등을 먼저 확인합니다.
P-Trap을 집기 틈새에 설치하여
모니터링을 진행합니다.
침대 및 침구류, 소파, 카펫 등
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부분은
현미경을 통해 검사합니다.
모든 집기 및 가구에 계피 성분이 포함된
천연 약제 처리를 진행합니다.
48시간 이후, 재 모니터링을 통해
집기 및 가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.
필수 값을 모두 입력해주세요.